top of page

Sleeping Dolls  

2008년 10월5일 – 10월 15일   갤러리 진선

권자연은 브레인 팩토리에서의 지난 개인전에서 뉴욕에 거주했던 레지던시 스튜디오에 남겨진 흔적들을 모티프로 하는 작업을 보여주었다. 특정한 장소들에 사람들이 남겨놓은 ‘흔적’과 그것을 바라보는 객관적 방식으로서의 ‘기록’에 대한 관심은 권자연의 작업을 이루는 주요한 축이다. 이번 전시에서 보여지는 <Sleeping Dolls> 연작들 역시 그러한 맥락의 연장선 상에 있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그의 작업 속에서 늘상 발견되던 흔적들이 주로 스쳐 지나가는 익명적 존재들과의 만남을 드러내고 있었던 것과 달리, 이번 작업의 모티프가 된 흔적들의 주체가 작가의 딸들이라는 점이다. 주로 공공적인 장소를 주된 영역으로 다루었던 과거의 작품과 다르게 집안이라는 사적 공간을 대상으로 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작업들은 작가가 집에 돌아왔을 때 집안 곳곳에 인형을 잠재워놓은 아이들의 흔적을 사진으로 기록하면서 시작되었다. 인형들에게 곱게 이불을 덮어 준 모습이나 여기 저기 서툰 글씨로 써 놓은 글들을 보면서 그는 모성적 주체로서가 아니라 한 사람의 작가로서 아이들이 구축해놓은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작가가 알고 있다고 생각한 아이들의 세계와는 달리 귀엽고 예쁜 것만은 아니라 어떤 섬뜩함을 내포한 세계였다고 한다. 

남겨진 흔적들을 통해서 흔적의 주체를 다시금 바라보는 것은 스튜디오에 남겨진 바닥칠이나 벽의 구멍들을 활용했던 권자연의 지난 드로잉 작업에서도 견지되던 특성이다. 일정한 시간 동안 그곳에 있다가 지금은 부재한 존재의 흔적들은 강하게 자신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그 존재의 특성을 조용한 부동의 상태 속에서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남겨진 물건들이나 그것과 연관된 흔적들은 마치 벗어놓은 옷가지에 남겨진 몸의 형태와도 같은 느낌을 안겨준다. 그것은 흔적의 주체가 주변 공간과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 나가는지를 말해주기 마련이다. 권자연이 주지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지점이다. 형상이 떠난 자리에 남겨진 배경을 바라보며 그 형상을 추정해보는 것과도 같은 태도는 권자연의 작업에서 두드러지는 특성이다. 영역 안에 개입하거나 점유하지 않고 경계에 서서 그 내부를 들여다보고자 하는 것이다. 흔적의 주체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권자연의 작업에는 언제나 객관적인 제3자의 시선이 드러난다. 그러나 지금은 부재하고 있는 것을 더듬어가는 방식이기에, 여기에는 본질적으로 과거의 시간과 인간의 흔적들에 대한 애정과 향수가 깔려있다. 그것은 권자연의 시선이 견지하고 있는 객관성을 흔들지 않을 정도의 아주 미미한 것으로, 제3자의 시선이 가지는 기록적 속성에 약간의 서정성을 덧입힌다. 

그간 드로잉 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권자연의 작업 방식을 보면, 언제나 결과보다는 그 과정을 중시해왔었다. 재료 자체의 유기적 속성이나 그것이 놓여진 장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작업은 작가를 작업의 중심이 아닌 주변부에 두면서, 작업에 끼어드는 우발적인 요인들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펼쳐진다. <Sleeping Dolls> 연작에서 작가의 역할은 보다 더 주변과 경계에 머물러 있다. 10여년간 아이들이 집에 남겨놓은 특정한 흔적들을 사진으로 포착해온 이 작업들은 타자로서 자신의 아이들을 바라보는 관찰자 시점의 기록이다. 그 기록을 통해서 관람자 역시 작가의 시선대로 인형들이 잠자고 있는 이 고요하고 낯선 세계를 함께 들여다보는 기분을 갖게 된다. 외부와 단절된 집안, 어른이 부재한 공간 속에서 아이들이 주인이 되어 점유한 영역들을 보면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인간의 경험은 사물, 공간, 시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경험의 흔적들이 그 상호작용을 다시금 반추하게 한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아이들이 공간에 남겨놓은 흔적들에서 일종의 패턴을 읽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권자연에게 있어서 공간이란 그것을 사용했던 사람의 시간과 그동안 되풀이 되었던 특정한 경험이 축적되어 있는 장이다. 즉 고정된 장소라기 보다 다양한 층위를 가지고 인간과 더불어 호흡하는 유기체와 같은 것이다. 권자연은 이 공간 곳곳에 누적된 파편들의 채집과 기록, 나열이라는 방식으로 흔적을 남긴 행위자들의 행동유형을 객관적으로 부각시킨다. 

어린 시절 가지고 놀던 인형들은 아이들에게 있어서 인격적인 대리물, 알터-에고(alter-ego)의 역할을 한다. 아이들은 집안 곳곳에 인형들의 잠자리를 마련하여 침대를 만들어주고 이불을 덮어주는 행동으로써 자신들의 위치가 지닌 나약함에 대한 불안감을 보상받는다. 사진 연작들과 함께 전시되는 텍스트들은 아이들이 쓴 메모와 글들을 있는 그대로 타이핑한 것이다. 들쑥날쑥한 문장들 가운데 튀어나오는 의외성이나 기이하면서도 사랑스러운 측면들은 어린 아이가 바라본 세계의 즐거움 뿐 아니라 부조리함과 그에 대한 두려움까지 읽을 수 있게 한다. 아이가 캠코더로 직접 찍은 동영상은 그들의 눈높이로 바라본 세계가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상기시키면서 그들이 엄연히 주체적 시각을 가진 인간 존재라는 점을 새삼 느끼게 한다. 비논리적으로 뒤섞여 있는 삶의 양극적 측면을 어린 아이의 세계를 통해 바라본다는 것은 흥미로운 경험이다. 권자연이 유지하고 있는 비판적이지도 센티멘탈하지도 않은 거리는 있는 그대로의 아이들만의 세계를 수평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작가가 관찰자로서 발견한 기록물들의 아카이브들을 통해서 우리는 어린 아이들이 구축한 세계, 한 때는 우리 자신의 세계였지만 지금은 타자가 된 낯선 시공간을 만날 수 있다. 그것은 작지만 나름의 체계가 있는 세계, 나약하게 보이지만 질서와 폭력이 공존하고 애정과 잔혹함이 뒤섞인 살아있는 어린 존재들의 세계인 것이다.        

 

이은주 (독립 큐레이터, 미술사) 

Sleeping Dolls 

2008/10/5-10/15  Gallery Jinsun

 

In her earlier solo exhibition at Brain Factory, Kwon Jayeon showed works based on motifs of traces left in the residency studio where she had stayed while in New York. Interest in "traces" left by people in specific places and in "documentation" as an objective method to observe such traces is an important axis of Kwon's work. The Sleeping Dolls serie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is within this same context. If anything has changed, it is that while the traces discovered in the artist's previous works revealed encounters with anonymous beings brushing past, the subjects of the traces serving as the motif for the new works are her own daughters. In contrast to the previous works, dealing mainly with public places, the new works deal with the private space of the artist's home. These began as the artist began photographing the traces of her children that she discovered upon her return home. They had put their dolls to bed in various places throughout the house. Seeing the dolls neatly tucked in under blankets and the unskilled handwriting here and there, she discovered a new world built by her children-not as a maternal subject, but as an artist. She says it was not just a pretty world, as one might expect, but a somewhat frightening one. 

Looking at the subject of "traces" through traces left behind is a characteristic that has been maintained as well in Kwon's previous drawing works, which utilize floor paint or holes in the wall left in the studio. The traces of beings who have been there for a period of time but who no longer exist, do not reveal themselves strongly, but enable us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ings clearly in a quiet state of immovability. The objects left behind and the related traces give us a feeling similar to the impression left by the shape of a body imprinted in the clothing that someone has taken off. Naturally, this shows how the subject of the traces establishes relationships with the surrounding space. This is exactly what Kwon focuses on. The attitude of estimating the figure while looking at the remaining background after the figure is gone is a characteristic that stands out in her work. She does not intervene in or dominate the area, but stands at the border attempting to look inside.  Because there is no direct interaction with the subjects of the traces, Kwon's work always reveals the objective views of the third person. But since it is a method of feeling the currently non-existent, there is essentially a love and nostalgia for a time in the past and the traces of human beings. The degree of this is very slight—-small enough not to shake the objectivity maintained by the artist's gaze—-and it adds a little sentimentality to the documentary nature of the third person's viewpoint.   

Considering Kwon's previous works, which were mainly drawings, she has always emphasized process rather than results. Her works, which are created through the organic nature of the material itself 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place, put the artist not in the center of the work, but on the circumference, while they accommodate the spontaneous elements that come into the work as well. In the Sleeping Dolls series, the role of the artist is more on the circumference and borders. The works, which have captured through photography, over a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the specific traces left in the house by the children, are documentation from the observer's view of her own children as the other. Through this documentation, spectators also get the feeling that they, like the artist, are watching this quiet and strange world where dolls are sleeping. In the hous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without an adult presence, the children have become the owners and have taken over the space. What we can sense here is that humans' experiences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 among objects, space and time, and the traces of such experience make us reflect upon the interaction. Interestingly, we can read a certain pattern in the traces left by the children. To Kwon, space is a field that has accumulated certain experiences repeated by those who used the space over time. In other words, it is not a fixed place, but rather an organism that breathes together with humans at diverse levels. Kwon objectively brings into relief the behavior patterns of those who have left traces, through the method of collection, documentation and arrangement of the fragments accumulated throughout the space.

 

Childhood dolls serve as alter-egos to children. By making beds for them throughout the house and covering them with blankets, children are compensated for the uneasiness they feel due to their vulnerable positions. The texts exhibited together with the photographs are direct typings of the memos and writings made by the children. The unexpectedness or weird-but-lovable aspects of these uneven sentences enable us to read not only the pleasure, but also the irrationality and fear of the world seen through the eyes of the children. Video footage taken directly by a child with a camcorder reminds us of what the world is like through their eyes, and that they are also human beings with independent perspectives. It is an interesting experience to look at the bipolar aspects of life, mixed up illogically, through the world of a young child. The distance kept by Kwon Jayeon, neither critical nor sentimental, enables us to see the world of children as it is, from a horizontal perspective. Through the archives of documentation discovered by the artist as an observer, we can meet the world built by little children—the time and spaces that used to be ours once but now have become the unfamiliar other. It is a world that is small but has its own system, a live world of young beings that appears weak but is in fact a mixture of order, violence, love and cruelty.

Lee, Eun-Joo (Independent Curator, Art Historian) 

bottom of page